반응형

수능/수학 14

[고등수학] 특이한 삼각함수의 극한

$$ \lim_{x \to 0} \dfrac{x - \sin x}{x^2}$$ 의 값을 구하는 문제를 생각해보자.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풀려고 하면 잘 안될 것이다. 그러면 보통 학원에서 가르쳐주는 로피탈 법칙을 쓰려고 할텐데,,, 만약 이게 학교 시험 서술형에 나왔다고 하면 ㅠㅠ 굉장히 난처해질 것이 불보듯 뻔하다. 답은 구할 수 있겠지만 -_-;; 그러면 어떻게 해야될까? 간단한 '부등식 하나'와 '삼각함수 식조작'을 통해서 극한값을 알아볼 것이다. 극한식 내부의 식 $f(x)=\dfrac{x - \sin x}{x^2}$이 기함수라는 것을 통해서 $x>0$인 경우만 따져봐도 괜찮다는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식을 작성할 수 있다. $$ 00$ 일 때는 $\tan x> x$..

수능/수학 2023.04.12

[수능수학] 로그의 성질

1. 진수가 1이면 로그 값은 무조건 0, 밑과 진수가 같으면 로그 값은 1이다. 2. 로그끼리 덧셈은 진수끼리의 곱셈이다. 3. 로그끼리 뺄셈은 진수끼리의 나눗셈이다. 4. 진수의 지수 자리에 올라간 숫자는 앞으로 떨어질 수 있고, 다시 올라갈 수도 있다. 5. 밑변환 공식: 밑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내가 원하는 밑으로 바꿀 수 있다. (로그의 나눗셈) 6. 로그끼리의 곱셈에서 밑은 서로 자리를 바꿀 수 있다. (밑변환 공식에 의해) 7. 밑과 지수는 앞으로 튀어나올 수도, 다시 들어갈 수도 있다. 8. 양쪽 끝은 서로 자리를 바꿀 수 있다.

수능/수학 2021.10.14

[수능수학] 극대/극소의 정의와 주의점

극대: 주변에서 가장 크거나 같은 값 [local maximum] x=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x)=f(a)일 때, 함수 f(x)는 x=a에서 극소라 하고 f(a)를 극솟값이라고 한다.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고 한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a)=0이다. 주의점 1.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a)=0이다. (거짓) 2. f'(a)=0이면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갖는다. (거짓) 3.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a)=0이다. (참)

수능/수학 2021.09.26

[수능수학] 삼차함수와 직선이 만나는 세 교점의 x좌표의 합은 일정하다.

삼차함수 y=ax^3+bx^2+cx+d가 직선과 세 점에서 만날 때, 세 교점의 x좌표의 합은 항상 -b\a로 일정하다. (접하는 경우도 같다.) y=ax^3+bx^2+cx+d, y=px+q가 주어졌을 때 x^3+bx^2+cx+d=px+q라고 잡은 뒤 이항하면 x^3+bx^2+(c-p)x+d-q=0가 된다. 위의 방정식의 해는 삼차함수와 직선의 교점의 x좌표들이 되는데, 이차항 계수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세 교점의 x좌표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

수능/수학 2021.09.26

[수능수학] 도함수의 부호와 증감

1. f'(x)>0 이면 증가한다. 당연한 거. 2. f'(x)>=0이면 증가가 아닐 수도 있다. 상수함수를 생각해보면 된다. 3. f'(x)=0 조건에서도 증가일 수 있다. y=x^3이 대표적인 예시인데, 한 점에서만 기울기가 0이라고 해서 증가가 아닌 것은 아니다. 증가함수라는 건 그 이전 점보단 크고 그 이후 점보다는 작다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이지, 도함수로 정의하는 게 아니다. 4. 미분이 안되어도 증가일 수 있다. x가 음수일 때는 y=3x, 양수일 때는 y=2x라면 x=0에서 미분은 안되지만 증가이다. 다시 말하지만 도함수로 증감을 정의핮는 게 아니다. 비슷한 경우로 미분이 안된다고 해서 극소/극대가 아닌 것도 아니다. y=|x|는 x=0에서 극소이다. 5. 증가이면 f'(x)>=0이다. y=..

수능/수학 2021.09.19

[수능수학] 원과 점

원 위의 세 점 > 내접삼각형 고려, 사인법칙/코사인법칙 고려 가능.. (문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외접원이 자동으로 주어지니까 사인법칙이 우선 순위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 물론 안된다면 다른 걸 고려해봐야 된다. 원 위의 네 점 > 내접사각형 고려, 대각의 합이 180도인 것 이용 가능.. 대각선을 이으면 삼각형이 두개 나오는데, 이 삼각형은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이므로 사인법칙 고려 가능.. 대각이 각각 90도라면 대각선을 이었을 때 직각삼각형이 나오고, 이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원의 지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더불어 굳이 원이 아니더라도 사각형 대각의 합이 180도라는 상황이 연출되면 이 사각형은 외접원을 갖는다는 걸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원 밖의 점 > 원 밖의 점에서 접선을 긋는..

수능/수학 2021.08.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