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능 31

[수능수학] 도함수의 부호와 증감

1. f'(x)>0 이면 증가한다. 당연한 거. 2. f'(x)>=0이면 증가가 아닐 수도 있다. 상수함수를 생각해보면 된다. 3. f'(x)=0 조건에서도 증가일 수 있다. y=x^3이 대표적인 예시인데, 한 점에서만 기울기가 0이라고 해서 증가가 아닌 것은 아니다. 증가함수라는 건 그 이전 점보단 크고 그 이후 점보다는 작다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이지, 도함수로 정의하는 게 아니다. 4. 미분이 안되어도 증가일 수 있다. x가 음수일 때는 y=3x, 양수일 때는 y=2x라면 x=0에서 미분은 안되지만 증가이다. 다시 말하지만 도함수로 증감을 정의핮는 게 아니다. 비슷한 경우로 미분이 안된다고 해서 극소/극대가 아닌 것도 아니다. y=|x|는 x=0에서 극소이다. 5. 증가이면 f'(x)>=0이다. y=..

수능/수학 2021.09.19

[수능수학] 원과 점

원 위의 세 점 > 내접삼각형 고려, 사인법칙/코사인법칙 고려 가능.. (문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외접원이 자동으로 주어지니까 사인법칙이 우선 순위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 물론 안된다면 다른 걸 고려해봐야 된다. 원 위의 네 점 > 내접사각형 고려, 대각의 합이 180도인 것 이용 가능.. 대각선을 이으면 삼각형이 두개 나오는데, 이 삼각형은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이므로 사인법칙 고려 가능.. 대각이 각각 90도라면 대각선을 이었을 때 직각삼각형이 나오고, 이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원의 지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더불어 굳이 원이 아니더라도 사각형 대각의 합이 180도라는 상황이 연출되면 이 사각형은 외접원을 갖는다는 걸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원 밖의 점 > 원 밖의 점에서 접선을 긋는..

수능/수학 2021.08.14

[지구과학1] 삼각주에서 연직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큰 이유

퇴적물 모임 A, 퇴적물 모임 B가 있다고 해보자. A가 퇴적될 때 큰 거는 무거워서 근해에 멈추고, 작은 거는 멀리 퍼진다. 그러고나서 B가 퇴적되면 큰 거는 근해에 작은 거는 멀리 퍼지는데, 근해의 수심이 얕아지면서 같은 거리에서 더 먼지점에도 큰게 갈 수 있게 된다. 이게 반복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큰 구조가 생긴다.

수능/지학1 2021.07.13

[지구과학1] 퇴적암의 퇴적 환경 (선상지, 삼각주)

선상지 - 육상 환경이다. - 계곡과 평지가 만나는 곳에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 퇴적물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다. 삼각주 - 연안 환경으로, 강의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 삼각형 모양의 퇴적 지형은 바다쪽으로 점점 확장되고 있다. - 연직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점이층리는 수심깊고 안정된 환경에서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육상/연안 환경에서는 생성될 수 없다.

수능/지학1 2021.07.12

[지구과학1] H-R도와 별의 분류

가로축: 표면 온도 혹은 분광형 세로축: 광도 혹은 절대 등급 물리량 변화 - 가로축의 왼쪽으로 갈수록 별의 온도가 높음 - 세로축의 위로 갈수록 별의 광도가 큼 -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별의 반지름이 큼 - 좌측 하단으로 갈수록 별의 밀도 큼 주계열성 - 별의 대부분임. - 표면 온도가 클수록 반지름, 광도 모두 큼 적색거성 - 표면 온도가 낮아 붉은색으로 보임 - 반지름이 매우 커서 광도가 큼 초거성 - 반지름과 광도는 매우 크고, 평균 밀도가 매우 작음 백색왜성 - 표면 온도가 높아 백색으로 보임 - 반지름이 매우 작아 광도가 작으며, 평균 밀도는 매우 큼 **흡수 스펙트럼에서 폭이 넓을수록 별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흡수 스펙트럼의 폭이 좁으면 별의 밀도는 작다.

수능/지학1 2021.07.03

[지구과학1] 별의 광도와 크기

광도는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방출하는 에너지의 총량을 나타낸다. 절대 등급이란, 별의 실제 밝기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인데 광도를 등급화 했다고 이해해도 괜찮다. 광도가 클수록 절대 등급은 작아지고, 광도가 작을수록 절대 등급은 커진다. *태양의 절대등급은 4.8이다. 절대 등급이 5만큼 차이나면 광도는 100배 차이난다. 즉, 절대 등급 0인 별은 5인 별보다 광도가 100배 크다. 슈테판-볼츠만 법칙 별이 단위 시간, 단위 면적당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은 표면 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별의 광도 광도는 별의 반지름의 제곱과 표면 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슈테판-볼츠만 법칙과 연관해 생각해보자.) 광도 계급 광도가 큰 I에서 광도가 작은 VI까지 6개의 계급으로 분류했다. 주계열성은 광도계급 5번....

수능/지학1 2021.07.03

[지구과학1] 별의 표면온도

분광형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스펙트럼을 O,B,A,F,G,K,M으로 분류한 것이다. 고온의 0에서 저온의 9까지 10등급으로 나뉜다. A0형: 10,000K 중성수소 흡수선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태양: G2형, 5800K, 칼슘 흡수선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절대등급 4.8 색지수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필터로 관측한 별의 겉보기 등급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B는 파란색이 우세하게 보이는 필터로 봤을 때 겉보기 등급 V는 노란색이 우세하게 보이는 필터로 봤을 때 겉보기 등급 B-V를 색지수로 정의한다. 색지수 값이 클수록 표면 온도가 낮고, 작을수록 표면 온도가 높다. 표면온도만 알 수 있을뿐 광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줄 수는 없다. 다른 자료와 엮어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가령, 별 A와 별 B..

수능/지학1 2021.07.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