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적물 모임 A, 퇴적물 모임 B가 있다고 해보자.
A가 퇴적될 때 큰 거는 무거워서 근해에 멈추고, 작은 거는 멀리 퍼진다. 그러고나서 B가 퇴적되면 큰 거는 근해에 작은 거는 멀리 퍼지는데, 근해의 수심이 얕아지면서 같은 거리에서 더 먼지점에도 큰게 갈 수 있게 된다. 이게 반복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큰 구조가 생긴다.
반응형
'수능 > 지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과학1]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 (0) | 2021.11.17 |
---|---|
[지구과학1] 퇴적암의 퇴적 환경 (선상지, 삼각주) (2) | 2021.07.12 |
[지구과학1] 산소 동위원소비와 온도 (0) | 2021.07.09 |
[지구과학1] 물리적 성질에 따른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0) | 2021.07.09 |
[지구과학1] 판게아의 형성과 분리 (0) | 202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