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학1

[지구과학1] 별의 표면온도

xeskin 2021. 7. 3. 12:14
반응형

분광형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스펙트럼을 O,B,A,F,G,K,M으로 분류한 것이다.

고온의 0에서 저온의 9까지 10등급으로 나뉜다.

 

A0형: 10,000K 중성수소 흡수선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태양: G2형, 5800K, 칼슘 흡수선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절대등급 4.8

 

색지수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필터로 관측한 별의 겉보기 등급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B는 파란색이 우세하게 보이는 필터로 봤을 때 겉보기 등급

V는 노란색이 우세하게 보이는 필터로 봤을 때 겉보기 등급

B-V를 색지수로 정의한다.

색지수 값이 클수록 표면 온도가 낮고, 작을수록 표면 온도가 높다.

 

표면온도만 알 수 있을뿐 광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줄 수는 없다. 다른 자료와 엮어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가령, 별 A와 별 B가 같은 거리에 있다고 하자.

색지수는 별 B가 별 A가 낮으면, B의 표면 온도가 A의 표면 온도보다 높지만

겉보기 등급이 B가 A보다 크다면 더 어둡다는 뜻이니 광도 자체는 더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로부터, 별 A, B 둘 중 하나가 주계열성일 수는 있지만 둘 다 주계열성이라는 결론 또한 내릴 수는 없다.

주계열성이라면 표면온도와 광도가 비례하기 때문이다.

 

 

반응형